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삼성안과처음으로 가기

커뮤니티

고객의 마음으로 친절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공지사항

등록일

2006-09-08

등록자

SEE삼성안과

근시교정술을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나 부작용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이 있을것이다


라식은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매우 안전한 수술이다.
하지만 드물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각막절편과 연관된 심각한 부작용
즉 각막절편구멍, 주름, 각막절편아래로 상피증식과 감염 등이 있고 회복이 쉽지않다
그리고 각막절편을 만들때 안구를 고정시키기 위해 거는 흡입환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주변부 망막에 구멍이 나거나 째질수 있다.

엑시머레이저나 라섹은 술 후 자기 상피로 덮이므로 각막절편 부작용이 거의 없다.
하지만 느린 시력회복과, 각막미세혼탁을 방지하기 위해 넣는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안약이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술 후 초기의 통증이 심해서 많이 불편했었다.
하지만 검사기기, 수술기계와 M-라섹의 발달로 각막미세혼탁은 많이 해결되었고,
무통수술법의 발달로 통증도 그전에 비해 1/5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본원에서는 일반 무통법외에 송파삼성안과만의 특별한 방법을 도입하여 각막미세혼탁과 통증이 거의 없다
(일명 MP3 라섹: 선택적인 M-라섹, Pain-free 라섹, 3일만에 일상생활로의 복귀)

그외에 두 방법의 공통적인 불편함으로는 술 후 초기의 야간 빛번짐, 안구건조증 등이 있다. 
이 중 안구건조증은 라식환자에서 특히 심한것으로 보고되어있는데,
이는 각막절편을 만들때 각막미세절삭도에 의해 각막 깊은 곳의 감각신경이 잘리는것과
수술 중 눈이 움직이지 않게 높은 음압으로 거는 흡인환에 의한 결막배상세포의 파괴에 기인한다.  
최근 대한안과학회지에 두 방법으로 수술 후 눈물내에 있는 신경성장인자를 측정한 흥미있는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엑시머/라섹 환자에 비해 라식환자에서 술 후 6개월까지도 눈물내 신경성장인자(NGF)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며, 이는 각막민감도 및 눈물막파괴시간과도 밀접히 연관되었다.
이는 엑시머/라섹 환자에 비해 라식환자에서 술 후 안구건조증이 현저히 심해짐을 의미하며
술전 안구건조증이 있던 환자는 라식수술을 함에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하고,
 
라식보다는 라섹이 더 유리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고 할 수 있겠다.
  

최근 외국논문에서도 아시아인에서 라식 후 안구건조증이 현저히 심해짐이 증명되었다
------------------------------------------------------------------------

Dry eye after LASIK: comparison of outcomes for Asian and Caucasian eyes.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Australia.

BACKGROUND: Dry eye is a common complication of LASIK surgery. Our clinical impression was that post-LASIK dry eye was more problematic for our Asian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dry eye after LASIK is more prevalent, more sustained and more severe in Asian eyes compared with Caucasian eye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clinical database. Data (n = 932 eyes, 932 patients)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week 2 and months 1, 3 and 6) LASIK surgery. Patients were defined as Asian if both parents were of East Asian ethic origin. Assessments included dry eye symptoms, ocular surface staining, tear volume, tear secretion, tear film stability and corneal sensation. RESULTS: Asian eyes had greater ocular surface staining, poorer tear film stability and lower tear volume before LASIK and at all times after LASIK. Dry eye symptoms occurring 'often or constantly' were more prevalent at all time points after LASIK in Asian eyes. Chronic dry eye persisting six months or more after LASIK was diagnosed in 28 per cent of Asian eyes and 5 per cent of Caucasian eyes (p < 0.001). Asian patients with chronic dry eye were predominantly female, reported dry eye symptoms, had greater ocular surface staining and lower tear secretion, stability and volume before surgery. After LASIK, Asian eyes had a slower return to pre-operative values for ocular surface staining, tear volume and corneal sensation. DISCUSSION: The risk of chronic dry eye after LASI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ian eyes. Contributing factors could include racial differences in eyelid and orbital anatomy, tear film parameters and blinking dynamics and higher attempted refractive corrections in Asian eyes.

목록
로그인